[러시아어] 1) 러시아어 자모 - 자음 2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지난번 자음 1 포스팅에서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쌍을 이루는 자음 12개(6쌍)를 살펴보았다. 이어 이번 자음 2 포스팅에서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쌍을 이루지 못하는 나머지 자음 9개를 다루고자 한다. 유성음 Р, р [r] Л, л [l] М, м [m] Н, н [n] 무성음 Х, х [kh] Ч, ч [ch], [촤] Ц, ц [ts], [ㅉ] Щ, щ [sh] 기타 Й, й 짧은 [l] 외국어 자모의 철자와 발음을 익힐 때 가장 어려운 것이 [r] 발음인 것 같다. 영어는 혀를 굴려서, 독일어는 목구멍에서 소리를 내는데, 러시아어의 Р[r]은 소위 아나운서들이 발음 연습을 할 때나 가수들이 목을 풀 때 혀를 부르르 떨면서 내는 '르르르르르' 소리에 가깝다. 게다가 러시아어의 [r]는 형태가 영어의..
2019. 12. 27.
[러시아어] 1) 러시아어 자모 - 자음 1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러시아어의 모음이 경모음과 연모음으로 쌍으로 이루어진 것과 같이 자음 또한 유성음과 무성음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 21개의 자음 가운데, 유성음과 무성음의 쌍으로 이루어진 12개의 자음을 먼저 정리하고자 한다. 유성음은 성대가 떨리는 소리, 무성음은 성대가 떨리지 않는 소리이다. 한국어에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없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영어에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있어, 영어 자음으로 이해하는 것이 쉽겠다. 예를 들면, 영어의 b와 p, d와 t가 그렇다. (한국어의 ㅂ, ㅍ, ㄷ, ㅌ와 다르다.) b와 d는 유성음으로 성대가 진동하며 소리가 난다. p와 t는 무성음으로 성대의 떨림 없이 소리가 난다. 유성음 무성음 Б, б [b] П, п [p], [ㅃ] В, в [v] Ф..
2019. 12. 27.
[러시아어] 1) 러시아어 자모 - 모음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러시아어 알파벳인 'Кириллица'는 총 33자이다. 모음이 10자, 자음이 21자, 기호가 2개 있다. EBS 강의에서는 알파벳 순서로 자모를 제시하였으나,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외국어 교육 원리에 따라 모음, 자음, 기호의 순서로 살펴보고자 한다. 러시아어의 모음은 경모음과 연모음으로 나뉜다. 경모음과 연모음의 정확한 정의는 잘 모르겠지만, 연모음은 경모음에 활음이 더해진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경모음과 연모음이 쌍을 이루기 때문에 같이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 경모음 연모음 А, а [ㅏ] Я, я [ㅑ] ы [ㅢ] И, и [ㅣ] У, у [ㅜ] Ю, ю [ㅠ] Э, э [ㅔ] Е, е [ㅖ] О, о [ㅗ] Ё, ё [ㅛ] 편의를 위해 한국어의 모음 소..
2019.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