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알파벳인 'Кириллица'는 총 33자이다.
모음이 10자, 자음이 21자, 기호가 2개 있다.
EBS 강의에서는 알파벳 순서로 자모를 제시하였으나,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외국어 교육 원리에 따라 모음, 자음, 기호의 순서로 살펴보고자 한다.
러시아어의 모음은 경모음과 연모음으로 나뉜다.
경모음과 연모음의 정확한 정의는 잘 모르겠지만, 연모음은 경모음에 활음이 더해진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경모음과 연모음이 쌍을 이루기 때문에 같이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
경모음 |
연모음 |
||
А, а |
[ㅏ] |
Я, я |
[ㅑ] |
ы |
[ㅢ] |
И, и |
[ㅣ] |
У, у |
[ㅜ] |
Ю, ю |
[ㅠ] |
Э, э |
[ㅔ] |
Е, е |
[ㅖ] |
О, о |
[ㅗ] |
Ё, ё |
[ㅛ] |
편의를 위해 한국어의 모음 소리와 비교해 두었지만, 실제로는 다르다.
특히 발음 규칙이 결합되면 많이 달라진다.
영어 알파벳과 모양은 같거나 비슷한데 소리가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А, У, Е가 그런 경우이다.
특히 E가 아직도 자주 헷갈린다. [ㅖ]로 발음해야 함을 머리로는 아는데, 자꾸 영어 E로 발음한다.
게다가 발음 규칙이 적용되면 [ㅣ]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어 더욱 입에 익히는 게 어렵다.
ы는 첫 소리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대문자로 사용되는 경우가 없다고 한다.
정리표에도 대문자를 적지 않았다.
처음 러시아어 알파벳을 접했을 때는 외계어 같고 신기했는데 이제는 글자를 보면 소리가 떠오르는 것을 보니 많이 익숙해졌나 보다.
한국어는 모음을 배우면, '아이, 오이, 우유'와 같은 단어들을 익힐 수 있는데, 영어도 그렇고 러시아어도 그렇고 모음으로만 조합된 단어는 찾기 힘들기 때문에 본격적인 단어를 통한 발음 연습은 자음을 학습한 후에 이루어진다.
'ZZINTEACHER 찐선생 > 공부하는 찐선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어] 2) 러시아어 발음 규칙 - 자음 1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0) | 2019.12.29 |
---|---|
[러시아어] 2) 러시아어 발음 규칙 - 모음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0) | 2019.12.28 |
[러시아어] 1) 러시아어 자모 - 기호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0) | 2019.12.28 |
[러시아어] 1) 러시아어 자모 - 자음 2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0) | 2019.12.27 |
[러시아어] 1) 러시아어 자모 - 자음 1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0) | 2019.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