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14) 표 사기 _ 2. 교재 독학 정리 노트
※ 회화 1
Сумин: Саша, тебе надо покупать билет на метро каждый день? Саша: Нет, я покупаю билет на метро только каждую субботу. Сумин: Какие билеты есть? Саша: Есть билеты на одну поездку, на пять, двадцать, сорок поездок. Сумин: Сколько стоит билет на одну поездку? Саша: Он стоит пятьдесят рублей. Сумин: Где мне надо покупать билеты на метро? Саша: Ты можешь покупать их в любой кассе метро. |
- Кому надо(=нужно) делать Что: '누구가 무엇을 해야 하다'라는 구문으로, '누구'는 여격을 사용한다.
- Билет на метро에서 전치사 На는 '-을/를 위한'을 의미하며 대격을 취한다.
- -마다에 해당하는 단어는 Каждый, -종일/-내내를 의미하는 단어는 Весь인데,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 형태가 다르다.
시간은 대격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본문에서처럼 '토요일마다'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대격형인 'Каждую Субботу'로 써야 한다.
|
남성 명사 |
여성 명사 |
중성 명사 |
복수 명사 |
Как часто? |
Каждый |
Каждая |
Каждое |
Каждые |
Как долго? |
Весь |
Вся |
Всё |
Все |
- 숫자와 명사를 함께 쓸 때는 항상 격에 유의해야 한다.
|
남성 명사의 예(루블, 달러, 표) |
여성 명사의 예(원, 회) |
1 + 단수 주격 |
Рубль, Доллар, Билет |
Вона, Поездка |
2~4 + 단수 생격 |
Рубля, Доллара, Билета |
Воны, Поездки |
5~ + 복수 생격 |
Рублей, Долларов, Билетов |
Вон, Поездок |
※ 회화 2
Минхо: У вас есть билеты на балеты Большого театра? Кассир: Вам нужен билет на сегодня? Минхо: Да, мне нужен билет на сегодня, а этому человеку нужен билет на завтра. Кассир: К счастью, есть билеты на сегодня и на заврта. Минхо: Какие места? Кассир: Есть места за тридцать, пятьдесят, сто долларов. Минхо: Пожалуйста, за пятьдесят долларов. Кассир: Вот, пожалуйста. |
- Билеты на сегодня и на заврта(오늘 표와 내일 표)에서 전치사 На는 '-을/를 위한'을 의미하며,
Места за пятьдесят долларов(50달러짜리 자리)에서 전치사 За는 '(얼마)짜리'를 의미한다.
- К счастью: '운이 좋게도, 다행히도'를 의미한다.
- 지시 형용사인 이(Этот), 저(Тот) 또한 격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는데 여기에서는 여격으로 사용되었다.
|
이 |
저 |
||
남성 & 중성 명사 |
여성 명사 |
남성 & 중성 명사 |
여성 명사 |
|
주격 |
Этот |
Эта |
Тот |
Та |
여격 |
Этому |
Этой |
Тому |
Той |
- 형용사 여격 변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형용사 어미 |
남성 명사 |
여성 명사 |
중성 명사 |
여격 |
-ому, -ему |
-ой, -ей |
-ому, -ему |
예 |
Новому студенту |
Новой студентке |
Новому окну |
(여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러시아어] 7) 격 - 여격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 여격(Dative Case; Дательный падеж): Кому(누구에게)? Чему(무엇에)? 세 번째로 살펴볼 격은 여격이다. 영어나 독일어에서는 보통 수여 동사(eg. give)와 함께 쓰이며 무엇을 받는 대상..
zzinteach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