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8) 희망사항 묻기 - 2. 교재 독학 정리 노트
※ 회화 1
Сумин: Уже час. Минхо, ты обедал? Минхо: Да, я обедал. Сумин: Что ты ел? Минхо: Я ел рис и рыбу. А ты ещё не обедала? Сумин: Да, я ещё не ела. Раньше я всегда обедала в два часа, а теперь я обедаю в час. Минхо: Я всегда обедаю в двенадцать часов. Что ты хочешь (есть)? Сумин: Я хочу блинны... Ну, я пошла Минхо: Приятного аппетита! |
- 동사의 과거형은 인칭에 따라 변화하는 현재형과는 달리 성,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어미를 붙여야 한다.
남성 명사 |
여성 명사 |
중성 명사 |
복수 명사 |
-л |
-ла |
-ло |
-ли |
(과거 시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러시아어] 9) 시제 - 과거 시제 -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EBS 인터넷 강의에서 배운 내용 중, 마지막으로 정리할 문법은 시제이다. 시제는 동사의 활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동사 파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시제에서의 동사의 활용은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달라..
zzinteacher.tistory.com
- '먹다'를 의미하는 동사에는 'Есть'가 있는데, 무엇을 먹는지 목적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아침, 점심, 저녁을 먹다'를 의미하는 동사인 'Завтракать, Обедать, Ужинать' 는 자동사이다.
- 목적어는 보통 대격을 취한다. 단수 대격은 성에 따라 다음과 같다.
|
남성 명사 |
여성 명사 |
중성 명사 |
Кого |
-# → -а ; -й, -ь → -я |
-а → -у ; -я → -ю |
- |
Что |
주격=대격 |
주격=대격 |
(대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러시아어] 7) 격 - 대격 _ 1. 인터넷 강의 정리 노트
※ 대격(Accusative Case; Винительный падеж): Кого(누구를)? Что(무엇을)? 네 번째 격인 대격은 목적격이라고도 불리며, 타동사와 사용될 때, 해당 동사의 직접적인 목적 대상을 가리킨..
zzinteacher.tistory.com
- Раньше ~, а теперь ~: 전에는 -았/었/했는데, 지금은 -아/어/해요.
- 몇 시에: В + 시간 대격(주격)
- Я пошёл / пошла: '나 간다'라는 뜻으로 과거형이지만 현재를 의미한다.
- Приятного аппетита!: 맛있게 드세요!
※ 회화 2
Саша: Что ты делала вчера вечером? Мила: Я читала роман «Война и мир». Саша: Ну и как? Мила: Это очень интересный исторический роман. Саша: Я тоже хотел прочитать его, но он очень длинный. Мила: А что ты делал вчера вечером? Саша: Я смотрел фильм «Горько 2». Ты хочешь посмотреть его? Мила: Да, я тоже хочу посмотреть его. |
- Ну и как?: 어땠어요? or 어때요? (감상을 물을 때 사용되는 표현)
- 'Прочитать, Посмотреть'는 'Читать, Смотреть'의 완료 동사로 '끝까지 다' 읽고 보는 것을 의미한다.
- Хотеть + 동사 원형: -고 싶다.
Я |
Ты |
Он/Она |
Мы |
Вы |
Они |
Хочу |
Хочешь |
Хочет |
Хотим |
Хотите |
Хотят |